해상운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
FCL(Full Container Load)과 LCL(Less than Container Load)입니다.
많은 무역/포워딩 실무자들이 이 두 방식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게 되는데요,
운송비용, 납기, 화물 안전성, 화물량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선택 전략이 달라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CL과 LCL의 개념과 차이, 실제 선택 시 고려할 팁까지 실무자의 시선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 FCL과 LCL, 개념부터 정확히 이해하자
- FCL (Full Container Load)
: 하나의 화주가 컨테이너 한 대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대량의 화물을 한 번에 운송할 때 적합하며, 운송 효율과 안전성이 높은 편입니다.
- LCL (Less than Container Load)
: 여러 화주의 화물을 한 컨테이너에 혼재하여 함께 운송하는 방식입니다. 소량 화물을 운송할 때 주로 사용되며, 비용 부담이 적은 것이 장점입니다.
✅ FCL과 LCL 비교표 한눈에 보기


✅ 실무자가 고려해야 할 선택 기준은?

1. 화물 부피와 중량
- CBM 기준 약 15CBM 이상이면 FCL이 더 경제적입니다.
- 소량인 경우 LCL이 초기 비용 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예산과 운송 단가
- FCL: 초기 비용 높지만 단위당 운임은 낮음
- LCL: 초기 비용 부담 낮지만 CBM당 단가는 높을 수 있음

3. 납기 일정
- 급한 일정이라면 FCL → 추가 작업 없이 바로 운송
- 일정 여유 있다면 LCL도 충분히 가능

4. 화물의 민감도
- 파손 위험이 크거나 고가 상품은 FCL로 안전 확보
- 비교적 단단하고 일반적인 포장 화물은 LCL도 적합

✅ 실무 팁 요약

대량 출고, 정기 출고 | FCL |
소량 출고, 샘플 운송 | LCL |
납기 여유 O | LCL |
고가/취급주의 화물 | FCL |
긴급 납기/계약일 준수 필수 | FCL |
✍️ 마무리 정리
FCL과 LCL 모두 상황에 따라 장단점이 명확히 존재합니다.
화물의 특성, 비용, 납기 일정, 고객사의 요구 조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장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물류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물류 담당자 및 담당 포워더의 실력입니다.
🧭 베트남 수출입 & 물류 정보가 궁금하신가요?
카고사이다에서는 실무자가 직접 정리한 포워딩·통관·현지 물류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합니다.
👉 즐겨찾기 등록하고, 다음 실무 꿀팁도 받아보세요!
'[베트남 물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M 계산법 완전 정복 ! 화물운송 단가 계산의 첫걸음! (0) | 2025.04.13 |
---|---|
해상 vs 항공 운송, 어떤 게 더 유리할까? (0) | 2025.04.11 |
📦 "무역 실무자 필수! 베트남 주요 항만·공항 한눈에 정리" (0) | 2025.04.10 |
🚢 베트남 수출입 물류 프로세스 A to Z (베트남 기준 완전 정리)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