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물류 기초]

🚢 베트남 수출입 물류 프로세스 A to Z (베트남 기준 완전 정리)

by 카고사이다 cargosaida 2025. 4. 8.

 

베트남에서 수출하거나, 베트남으로 수입을 하려는 기업/무역 실무자라면 물류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베트남 기준에서 바라본 수출/수입 절차를 단계별로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 목차

  1. 베트남 수출입 시장 개요
  2. 베트남 기준 수출 프로세스
  3. 베트남 기준 수입 프로세스
  4. 실무 팁 & 자주 묻는 질문
  5. 마무리 요약

1. 베트남 수출입 시장 개요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무역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한국, 중국, 미국, 유럽 등과의 교역량이 큽니다.
전자제품, 섬유류, 농수산물 등의 수출이 활발하며, 기계류, 철강, 전자부품 등의 수입도 많습니다.

 

그만큼 수출입 관련 서류와 절차도 다양하고 복잡할 수 있어,
정확한 프로세스 이해가 필수입니다.


2. 베트남에서 타국으로 ‘수출’하는 프로세스

① 계약 체결 및 오더 접수

  • 바이어와 계약 체결 → PO 수령 → 출고 준비

② 수출 서류 작성

  • Invoice, Packing List, 계약서, 수출면장 등
  • FTA 적용 시 원산지증명서(C/O) 및 관련 서류 필요
    • C/O 발급 시, 수입국 기준 HS CODE 확인 후 발급 필수!

③ 세관 신고 및 수출 통관

  • VNACCS 시스템 이용 전자 신고
  • HS CODE 검토, 검사 필요 시 서류/실물 검사 진행

④ 선적 준비

  • 선사/항공사 예약 (Booking)
  • 포워더와 협업해 화물 픽업 → 포장 → CY 또는 CFS 또는 공항 화물터미널 입고
  • B/L 발행 후 수입자에게 송부

⑤ 해외 운송

  • 선적 → 수입국 도착 → 수입자 통관 진행

3. 타국에서 베트남으로수입’하는 프로세스

① 수입 계약 체결 및 오더

  • 수입 계약서 체결 → PI(Proforma Invoice)수령

② 수입 허가 여부 확인

  • 제한/금지 품목 여부 및 인증 요구사항 확인

③ 수입 서류 수령

  • Invoice, Packing List, B/L, C/O 외 인증서류 확보

④ 세관 신고 및 통관 절차

  • VNACCS 시스템 통한 전자 신고
  • HS CODE 확인 및 세금 납부

베트남 세관은 수입 신고 시, Green / Yellow / Red Line으로 통관 채널을 자동 분류합니다:

  • Green Line: 서류 및 실물 검사 없이 통관 가능
  • ⚠️ Yellow Line: 세관원이 서류를 검토하며, 경우에 따라 Red로 전환되어 실물검사 진행
  • Red Line: 실물검사 필수

통관 채널은 수입이력, 품목, 업체 신뢰도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⑤ 화물 픽업 및 내륙 운송

  • 통관 승인 후 픽업 → 공장 또는 창고 입고

📌 주의사항:
수입 신고 시 제출하는 정보와 선적 서류가 반드시 일치해야 하며,
오타나 띄어쓰기 오류 없이 명확하게 기재되어야 통관 지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실무 팁 & 자주 묻는 질문

Q. 베트남은 수입 통관에 얼마나 걸리나요?

일반 화물(Green Line) 기준 1~2일,

Yellow Line은 3~4일,

Red Line은 5~7일 이상 소요됩니다.
수입 요건, 품목 특성에 따라 계획을 유연하게 잡는 것이 좋습니다.

Q. 베트남은 수출입 신고 시, 전자로만 신고만 하면 되나요?

→ 베트남은 대부분 수출입 신고 모두 전자신고(VNACCS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지만,
항공 수출입 진행의 경우, 수출입 면장을 서면 제출하여 세관 도장을 받는 절차를 추가 진행해야 합니다.
즉, 항공화물의 경우는 면장 제출 시 실제 신고된 내역과 면장 제출시 실제 반입된 화물의 정보 특히 무게 정보를 한 번 더 확인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5. 마무리 요약

베트남 수출입의 핵심은 “정확한 서류 작성 + 세관 대응력”입니다.

  • 수출: 계약 → 서류작성 → 신고 → 선적
  • 수입: 계약 → 서류확보 → 통관 → 픽업

FTA 활용, HS CODE 확인, 서류 정합성 등이
실무에서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열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