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물류 기초]

CBM 계산법 완전 정복 ! 화물운송 단가 계산의 첫걸음!

by 카고사이다 cargosaida 2025. 4. 13.

국제 물류를 처음 접하는 무역 초보자나 포워딩 실무자에게 가장 기본이면서도 헷갈릴 수 있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CBM(Cubic Meter, 입방미터)입니다.


CBM은 수출입 운송 시 화물의 부피를 기준으로 요금을 산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로, 해상·항공 운송 모두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BM이 무엇인지,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실제 운송 업무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까지 하나하나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CBM이란?

CBM(Cubic Meter)은 말 그대로 입방미터, 즉 부피 단위(가로 × 세로 × 높이)를 의미합니다.


1 CBM은 1미터 × 1미터 × 1미터 크기의 부피입니다.

화물을 운송할 때, 단순히 무게가 아니라 공간(부피)을 기준으로 요금이 책정되기 때문에, CBM은 운송비 산출의 기준이 되는 핵심 단위입니다.

예: 100kg짜리 제품도 부피가 작으면 항공 운송비가 적게 들 수 있고,
50kg이라도 부피가 크면 더 많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


✅ CBM 계산 방법 (기본 공식)

CBM을 계산하는 공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모든 단위를 반드시 미터(M) 단위로 환산한 뒤 계산해야 더 정확하답니다!

📐 기본 공식

CBM = 가로(m) × 세로(m) × 높이(m)

🧮 예시 1: 1박스 기준

  • 박스 사이즈: 100cm × 50cm × 60cm
    → 미터로 변환: 1.0m × 0.5m × 0.6m
    → CBM = 1.0 × 0.5 × 0.6 = 0.3 CBM

✅ 여러 박스일 경우 계산법

박스가 여러 개일 경우, 개수 × 박스당 CBM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 예시 2: 10박스 기준

  • 박스 사이즈: 60cm × 40cm × 50cm → 0.6m × 0.4m × 0.5m
  • 박스당 CBM = 0.6 × 0.4 × 0.5 = 0.12 CBM
  • 총 CBM = 0.12 × 10 = 1.2 CBM

✅ 항공 운송에서의 CBM 활용

항공 운송에서는 중량 기준부피 기준(Volumetric Weight)더 높은 값으로 요금을 책정합니다.

항공 부피 무게 계산 공식

부피무게(kg) = (가로(cm) × 세로(cm) × 높이(cm)) ÷ 6000

※ 항공사는 보통 6000(혹은 5000)을 기준으로 나눕니다.

예시

  • 박스 크기: 80cm × 60cm × 50cm = 240,000㎤
  • 부피무게 = 240,000 ÷ 6000 = 40kg

▶ 실제 무게보다 부피무게가 더 클 경우, 그 기준으로 운임이 계산됩니다.


✅ 해상 운송에서의 CBM 활용

해상 운송에서는 CBM당 운임이 책정됩니다. (특히 LCL 혼재 화물)
예: 1 CBM당 50달러 → 2.4 CBM이면 총 운임 = 50 × 2.4 = 120달러

 

주의사항 (부피무게 vs 중량무게 운임 비교하여 큰쪽기준으로 요금 책정)

  • 대부분 운송사는 CBM 또는 1톤 중 큰 쪽으로 운임 계산합니다.
    (예: 1.2CBM인데 무게가 1.5톤이면, 톤 기준으로 요금 책정)


✅ 실무에서 자주 나오는 질문

Q. cm 단위로 계산해도 되나요?
아니요! 반드시 미터(M) 단위로 환산 후 계산해야 CBM이 정확하게 나옵니다.

 

Q. 원형 제품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 원형도 직사각형 기준으로 최대 길이 × 최대 높이 × 최대 폭을 기준으로 부피 계산합니다.

 

Q. 팔레트 위에 적재된 화물은?
→ 팔레트 크기까지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ex. 팔레트사이즈: 1.2m × 0.8m × 전체 높이)


✍️ 마무리 정리

CBM은 국제 물류에서 빠질 수 없는 기본 단위입니다.
무게 중심의 요금에서 부피 중심의 요금 구조로 전환되고 있는 요즘,
정확한 CBM 계산은 비용 절감과 견적 신뢰도 향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무역실무자, 포워딩 실무자 라면 CBM 계산은 필수 역량!
초보자라면 이 포스팅을 즐겨찾기해두고 활용하세요~ 😊


📌 앞으로도 물류 실무에 꼭 필요한 개념을 카고사이다 블로그에서 알기 쉽게 풀어드립니다.
다음 포스팅 주제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