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물류 기초]5

CBM 계산법 완전 정복 ! 화물운송 단가 계산의 첫걸음! 국제 물류를 처음 접하는 무역 초보자나 포워딩 실무자에게 가장 기본이면서도 헷갈릴 수 있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CBM(Cubic Meter, 입방미터)입니다.CBM은 수출입 운송 시 화물의 부피를 기준으로 요금을 산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로, 해상·항공 운송 모두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CBM이 무엇인지,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실제 운송 업무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까지 하나하나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CBM이란?CBM(Cubic Meter)은 말 그대로 입방미터, 즉 부피 단위(가로 × 세로 × 높이)를 의미합니다.1 CBM은 1미터 × 1미터 × 1미터 크기의 부피입니다.화물을 운송할 때, 단순히 무게가 아니라 공간(부피)을 기준으로 요금이 책정되기 때문에, CBM은 운송비.. 2025. 4. 13.
FCL과 LCL 뭐가 더 유리할까?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해상운송 선택 기준 해상운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FCL(Full Container Load)과 LCL(Less than Container Load)입니다.많은 무역/포워딩 실무자들이 이 두 방식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게 되는데요,운송비용, 납기, 화물 안전성, 화물량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선택 전략이 달라집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FCL과 LCL의 개념과 차이, 실제 선택 시 고려할 팁까지 실무자의 시선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 FCL과 LCL, 개념부터 정확히 이해하자FCL (Full Container Load): 하나의 화주가 컨테이너 한 대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대량의 화물을 한 번에 운송할 때 적합하며, 운송 효율과 안전성이 높은 편입니다. LCL (Less than .. 2025. 4. 12.
해상 vs 항공 운송, 어떤 게 더 유리할까? 수출입 물류를 처음 시작하거나 효율성을 고민하는 실무자라면 반드시 한 번쯤은 고민하게 되는 질문이 있습니다.바로 해상운송과 항공운송 중 무엇이 더 유리할까입니다.두 운송 방식은 물류의 핵심 축이지만, 비용, 운송 시간, 상품 특성,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집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상운송과 항공운송의 차이점과 상황별 선택 전략에 대해 실무 관점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해상운송의 특징과 장점해상운송은 전 세계 물동량의 약 90퍼센트를 담당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국제 물류 방식입니다.특히 대량 운송이 가능하며, CBM 단위의 저렴한 단가로 인해 단가 민감도가 높은 제품이나 대형 화물, 산업재, 설비, 완제품 등에 매우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베트남 호치민에서 한국 인천항까지의 운송은 보.. 2025. 4. 11.
📦 "무역 실무자 필수! 베트남 주요 항만·공항 한눈에 정리" 베트남과의 무역이 활발해지면서,주요 항만과 공항의 위치와 역할을 정확히 아는 것은 수출입 계획을 세우는 데 필수입니다.이 글에서는 베트남 수출입 물류에 핵심이 되는 항만과 공항을 지역별로 정리해드립니다.   ✅ 핵심 요약수출입이 가장 활발한 주요 루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공 운송: 하노이, 호치민🚢 해상 운송: 하이퐁(북부), 깟라이·붕따우(남부)🚢 Hai Phong Port (하이퐁항)북부 최대 항만 / 중국 국경과 가까움중소형 제조업체의 수출입 중심📍 하이퐁 시내까지 약 10~15km / 약 30분 소요✈️ Noi Bai International Airport (하노이 노이바이 공항)전자부품, 고가 화물 수출입 중심📍 하노이 시내까지 약 30km / 약 45~60분 소요 🚢 Cat La.. 2025. 4. 10.
🚢 베트남 수출입 물류 프로세스 A to Z (베트남 기준 완전 정리) 베트남에서 수출하거나, 베트남으로 수입을 하려는 기업/무역 실무자라면 물류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이 글에서는 베트남 기준에서 바라본 수출/수입 절차를 단계별로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목차베트남 수출입 시장 개요베트남 기준 수출 프로세스베트남 기준 수입 프로세스실무 팁 & 자주 묻는 질문마무리 요약1. 베트남 수출입 시장 개요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무역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한국, 중국, 미국, 유럽 등과의 교역량이 큽니다.전자제품, 섬유류, 농수산물 등의 수출이 활발하며, 기계류, 철강, 전자부품 등의 수입도 많습니다. 그만큼 수출입 관련 서류와 절차도 다양하고 복잡할 수 있어,정확한 프로세스 이해가 필수입니다.2. 베트남에서 타국으로 ‘수출’하는 프로세스.. 2025. 4. 8.